진행중 ㅣ 2025.05.30.

"다자녀 가정과 전통시장 정육점이 함께하는 지역 식생활 공동체 구축 제안서"

  • 제안기간: 2025.05.23. ~ 2025.05.30.
  • 작성자: 아이가미래
  • 작성일: 2025.05.23. 17:11
  • 조회수: 5

① 생활에서 인식하거나, 발견한 지역문제를 적어주세요. (제안배경) 

문경시의 전통시장 및 정육점은 고령화, 유동 인구 감소, 대형마트의 영향 등으로 점차 활력을 잃고 있습니다. 특히 도·소매 식육 판매 업종은 소비층 고령화와 젊은층의 관심 부족으로 매출이 정체되고 있습니다.

또한, 다자녀 가정처럼 대가족일수록 질 좋은 식재료에 대한 수요는 높지만, 이를 부담 가능한 가격으로 안정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유통 채널이 부족합니다. 

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안해주세요. (해결방법) 

‘다자녀 가정+정육점 연계 지역 식생활 공동체 프로젝트’

- 지역 정육점과 다자녀 가정을 연결하는 구독형 고기 패키지 시스템 운영
- 전통시장 정육점 상품을 활용해 가정별 맞춤형 정기배송 서비스 제공
- 문경시청 또는 가족센터에서 다자녀 대상 할인권 지원 연계
- SNS 및 지역 플랫폼에서 ‘우리 고기 먹는 날’ 캠페인 전개 

③ 아이디어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협력과 연계가 필요한가요? (자원연계 방안) 

- 문경시 가족센터: 다자녀 가정 대상 사업 홍보 및 참여 연계
- 문경 전통시장 상인회: 참여 정육점 모집 및 유통 구조 협력
- 경상북도경제진흥원: 유통 시스템 구축 및 플랫폼 개발 지원
-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: 참여 점포 교육 및 마케팅 컨설팅 제공 

④ 아이디어가 실현되면 지역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? (기대효과) 

- 정육점 등 전통시장 상권의 매출 증대 및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 확보
- 다자녀 가정의 식비 절감 및 질 좋은 식자재 이용 기회 확대
- 지역 내 세대 간 소통 강화와 공동체 의식 증진
- 농·축산물 지역 소비 촉진 및 지역경제 순환 구조 활성화 

⑤ 참고가 될 예시 사진이 있다면 첨부해주세요. (설명 대체) 

※ 시각 자료 대신 이미지 묘사로 대체합니다.

1. 정육점 내부: 냉장 쇼케이스에 진열된 고기, 손글씨 POP, 위생복을 입은 점주
2. 다자녀 가족의 정육점 방문: 부모와 아이들이 고기를 고르며 상담하는 모습
3. 정기배송 패키지: 고기+문경 농산물 조합, 전단지 동봉
4. 할인 쿠폰: QR코드 포함 다자녀 할인권
5. 캠페인 포스터: 고기 먹는 날 홍보 일러스트와 참여점 명단

공감

0명이 공감합니다.

0 / 1,000

댓글 ( 0 )